[1과목 : 컴퓨터일반] 인터넷(정보통신) - 통신 장비 & 오류 검출
3부. 인터넷(정보통신)
10장. 통신 장비 & 오류 검출
<1> OSI 7계층
- 정의 :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안한 7단계 표준화 프로토콜
* 하위 계층(1~3계층), 상위 계층(4~7계층)
<2> TCP/IP
- 정의 :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연결 표준 프로토콜
- 링크 계층 : 데이터 전송할 수 있도록 물리적/논리적 연결(Ethernet, IEEE802, HDLC, X.25, RS-232C)
- 인터넷 계층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해석, 복잡한 인터넷 길 중에서 경로 설정 (IP, ICMP, ARP, RARP)
-
IP : 오류 무시 -> 신뢰성 down
-
ICMP : 오류 정보 발견시 송신측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 -> IP 신뢰성 보완
- 전송 계층 : 전송 방식 결정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
TCP : 연결을 설정한 후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교환. 오류/상황보고, 순서/오류/흐름제어 기능. 연결형 -> 신뢰성 up
-
UDP : 비연결형태 -> 신뢰성 down, 속도 up (실시간 전송 유리)
* 패킷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자른 데이터의 전송단위
- 응용 계층 : 데이터 송신/수신(Telnet, FTP, SMTP, HTTP, NNTP, SNMP, DNS)
-
SMTP :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감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UDT 상에 정의 -> TCP/IP X)
<3> 정보 통신망 용어
-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컴퓨터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통신수단
-
별도의 회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기존에 사용하던 전화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
양쪽 방향의 전송 속도가 다름 : 다운로드 속도 > 업로드 속도. -> 속도도 느리고 원활한 양방향 서비스 X
- HDSL(High-bit-rate DSL) : 대칭형. 북미 기준으로는 T1 회선, 유럽기준으로는 E1 회선 수준의 속조로 데이터를 전송
-
T1 회선 : T는 Tera(10의 12승, 즉 1조를 의미하는 접두어)의 준말로 미국의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1.5Mbps급 디지털 회선을 말한다.
-
E1 회선 : 2Mbps
-
전용 회선에서 각 회선의 최대 전송 속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 : T1 -> E1 -> T2 -> E2 -> E3 -> T3
- VDSL(Very high-data rate DSL) :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다운/업로드 속도가 빠름 -> 대용량 파일 송/수신과 고화질동영상 감상에 적합
- LAN : 근거리 통신망. 동일 건물내에서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고속전송회선 네트워크. LAN(로컬) < MAN(메트로폴리탄) < WAN(와이드)
- VAN : 부가 가치 통신망. 정보 제공 시 통신 회선을 임차하여 사설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부가적인 정보 서비스를 유통시키는 정보 통신 서비스
- 인트라넷 :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기업 내부의 업무를 해결하려는 네트워크 환경
- ISDN : 종합 정보 통신망. 동일한 통신망으로 음성(전화), 비음성(컴퓨터)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망
- B-ISDN : 광대역(고속) ISDN. 데이터, 음성, 고해상도의 동영상 등 다양한 서비스를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고속 통신망
<4> 통신 장비 (연동 장치)
- 정의 :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장비
- 허브(Hub) : 컴퓨터 연결 장치 -> LAN에 있어서 통합회선 관리
-
더미(Dummy) 허브 :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컴퓨터 수만큼으로 나누어 제공 (성형 구조)
-
스위칭(Switching) 허브 : 각각의 노드가 최대 대역폭으로 사용
- 리피터(Repeater) : 장거리 전송 -> 신호 증폭 (OSI 1계층 물리계층 장비)
- 브리지(Bridge) : 동종 LAN 연결 (OSI 2계층 데이터링크계층 장비)
-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를 연결 + 최적 경로 설정
- 게이트웨이(Gateway) : 다른 네트워크 사이를 결합
-
주로 LAN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비이다.
-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된다.
-
프로토콜 변환기능을 내포하며 OSI 참조 모델의 7계층까지를 포함하는 연동장치이다.
<5> 오류 검출 방식
- 페리티 검사 : 짝수(우수) 패리티(1000 0010), 홀수 패리티(10000 0011) -> 문제점은 짝수 개의 비트 오류일 경우 검출이 되지 않는다.
- 블록합 검사(BSC) : 패리티 검사 단점을 보완. 짝수 개의 비트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 CRC(Cyclic Redundancy Check) : 순환 중복 검사. 정정 X
-
송신측에서 데이터로부터 다항식에 의해 나온 여분의 오류검사 비트열(Frame Check Sequence)을 데이터에 덧붙여 보낸다.
-
수신측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결과와의 일치로 오류검사를 한다.
- 해밍 코드 : 2비트의 에러 검출 및 1비트의 에러 교정이 가능한 방식. 정정 O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