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활1급 필기노트2016. 12. 28. 15:44

1부. Windows 7의 기능

3장. 운영체제 & 부팅

 

<1> 운영체제 (OS, Operating System)

- 정의 :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더 편리한 컴퓨터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종류 : MS-DOS, Windows 계열, UNIX, Linux, OS/2

- 목적

  • 반환 시간 단축 : 시스템에 작업을 의뢰한 시간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

  • 처리 능력 향상 : 일정 시간 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양

  • 신뢰도 향상 : 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정도

  • 사용 가능도 향상 : 시스템이 필요할 때 얼마나 빠른 시간에 사용이 가능한가

- 기능 : 하드웨어의 효과적인 제어, 사용자의 프로그램 실행 환경 제공, 파일과 디스크 관리기능 제공(데이터베이스 관리 X)

- 특징

  • 초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운영체제가 없었다.

  • 시스템 소프트웨어(시스템 전체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주된 역할은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통신 장치, 데이터 등과 같은 자원의 관리이다.

  •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주기억장치에 위치한다. (하드디스크 X)

  •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들을 관리하는 주요 프로그램들을 슈퍼바이저(supervisor)라고 부른다.

  • 제어 프로그램(감시, 작업 관리, 데이터 관리 등)과 서비스 프로그램(효율성을 위해 사용빈도가 높음)으로 구성된다.

  • 키보드, 모니터, 디스크 드라이브 등 필수적인 주변장치들을 관리하는 BIOS를 포함한다.

* 쉘 :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틸리티 프로그램

* 윈도우CE : 가전제품, 소형컴퓨터, PDA 등에 사용되는 임베디드(목적을 위한 작은 컴퓨터 시스템. 내장형 시스템) 운영체제

- 운영방식 : 일괄 처리, 실시간 처리, 분산 처리, 클러스터링(빠른 처리와 장애 해결을 위해 두 대 이상의 컴을 묶어서 처리) 등

 

<2> 부팅 과정 

  1. 컴퓨터에 전원이 들어오면 롬 바이오스(ROM BIOS)가 실행되어 CMOS에 기록된 내용과 각 하드웨어가 정상인지 점검한다.

  2. 시스템 버스, RTC 시스템 비디오 구성 요소, RAM, 키보드, 드라이브 등을 검사하는 POST를 수행한다.

  3. MBP과 부트 섹터를 검색하고 커널을 포함한 부팅에 필요한 모든 파일들을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인다.

  4. Winlogon.exe를 실행하여 로그온 화면을 표시한다.

  5. Explorer.exe를 실행하여 Windows 7의 바탕 화면을 표시한다.

BIOS

 - 정의 :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들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

  • ROM에 저장되어 있어 ROM BIOS라고 함

  • 바이오스는 부팅할 때 PO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한 후에 사용 가능한 장치를 초기화한다.

     * POST(Power On Self Test) : 전원을 켜면 윈도우가 동작하기 전에 컴퓨터의 자가진단과 주변기기 점검 등을 실시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인 펌웨어(ROM에기록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그램의 집합)이다.
  • 최근에는 Flash ROM(재프로그래밍 가능, USB)에 저장되므로 칩을 교환하지 않아도 BIOS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 하드디스크 타입이나 부팅순서와 같이 바이오스에서 사용하는 일부 정보는 CMOS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CMOS

 - 정의 :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웨어 사양을 기록하는 기억장치 (부팅 시 [Delete])

  • 롬 바이오스에 내장된 RAM이지만 PC의 전원이 꺼져도 배터리에 의해 정보를 유지한다.

  • CMOS 셋업 :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웨어 사용을 기록하는 장업

  • CMOS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 : 시스템 날짜/시간, 하드디스크 타입, 부팅 순서, 시스템 양호, 칩셋, 전원 관리, PnP 등

  •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 : 메인 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를 뽑았다가 다시 장착하면 된다.

 

<3> 레지스트리 (Registry)

- 정의 : 컴퓨터에 설치된 각종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 대한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는 장소

- 특징

  • Windows의 자체 구성 정보, 사용자의 프로필과 시스템 하드웨어, 설치된 프로그램 및 속성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계층적인 DB

  • IRQ, I/O주소, DMA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자원과 프로그램 실행 정보와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을 관리한다.

  • 사용자 프로필과 관련된 부분은 ntuser.dat 파일에 저장된다.

  • Windows를 동작시키고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담고 있는 일종의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과 하드웨어나 컴퓨터롸 관련괸 초기화 설정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 레지스트리 변경으로 부팅 문제가 생긴 경우 : 부팅 시 [F8]을 누르고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을 선택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시작 - 검색 상자 - regdit)

  • 레지스트리 내용은 기계어로 되어있어 일반 문서 편집기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수정 시 레지스트리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 시 잘못 변경하면 시스템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를 모두 백업한 후 변경하는 게 좋다.

  • 레지스트리 백업 : [파일] - [내보내기]

  • 레지스트리 복원 : [파일] - [가져오기]

 

<4> 시스템 구성 편집기 (시작 - 검색 상자 - sysedit)

- 정의 : 시스템 파일(autoexec.bat / config.sys / win.ini / system.ini)을 편집할 수 있다.

 

<5> 시스템 환경 설정 (시작 - 검색 상자 - msconfig)

- 정의 : 시스템 환경 설정을 수정(configuration: 환경 설정, 구성)할 수 있다.

- 구성 : 일반, 부팅, 서비스, 시작프로그램, 도구

  • 일반 : 시작 모드 선택. 정상(일반적인 윈도우 시작)/진단(기본 서비스 및 드라이버만으로 시작)/선택(선택한 항목으로 시작)

  • 시작프로그램 : 윈도우가 시작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 부팅 : 안전 부팅, GUI 부팅 없음, 부팅 로그, 기본 비디오, OS 부팅 정보

* 안전 부팅 : 부팅 시 문제가 되는 주변장치 일부를 제외하고, 최소 설정으로 시스템을 시작하도록 하는 것 (부팅 시 [F8]을 누르면 선택 가능)

* GUI 부팅 없음 : GUI(윈도로고) 없이 부팅

* 부팅 로그 : 부팅 로그(윈도우가 실행 및 종료될 때 날짜 및 시간을 기록)를 남김

* 기본 비디오 : 640*480 해상도에 16색 표준 VGA로 부팅

* OS 부팅 정보 : 장치 드라이버를 로딩하면서 그 목록을 표시(어떤 장치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할 때 필요함)

 

<6> 인스톨러 (시작 - 검색 상자 - msiexec)

- 정의 : Windows Installer(설치 지원 프로그램)의 작업을 설치하고 수정한다.

 

<7> cmd (시작 - 검색 상자 - cmd /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정의 : DOS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띄우는 명령어이다.

  • 텍스트 글꼴/색상 변경 : 제목 표시줄 - 바로가기 메뉴 - [속성] - [글꼴]

  • 텍스트를 다른 문서에 복사 : 우클릭 - 모두 선택 - 제목 표시줄 - 바로가기 메뉴 - [편집] - [복사]

  • 창을 종료하려면 exit 명령어를 입력한다.

 

<8> 경로 추적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tracert)

- 정의 : 지정된 호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하는 경로의 정보와 각 경로에서의 지연 시간을 추적하는 명령어이다. 대상 위치의 경로를 확인한다.

 

<9> IP 구성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ipconfig)

- 정의 : 현재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정보(IP 주소, 서브넷 마스트, 기본 게이트웨이)를 표시하는 명령어이다.

- 네트워크 카드의 물리적 주소(MAC Address)도 확인할 수 있다. (ipconfig /all)

 

<10> 정상 작동 확인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ping)

- 정의 : 네트워크상에서 원격으로 대상이 되는 장비의 연결 상태 및 작동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11> DNS 정보 확인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nslookup)

- 정의 : DNS(네트워크에서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12> 활성 TCP 확인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netstat)

- 정의 : 네트워크(활성 TCP)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stat : 통계량)

 

<13> 라우팅 테이블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route)

- 정의 : 로컬 IP 라우팅 테이블(네트워크에서 목적지 주소를 네트워크 노선으로 변환)에서 항목을 표시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