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14. 15:31

<쿼리> : [만들기] - 기타 - [쿼리 디자인]

- 테이블이나 쿼리에서 필요한 필드만 가져와 새롭게 재작성한 테이블을 말한다.

  • 두 개 이상의 테이블로 쿼리를 만들 수 있다. (관계를 이용한다.)
  • 데이터시트 보기와 디자인 보기가 있다.

- 리 계산 필드 : 없는 필드도 만들 수 있고, 기존 필드의 이름을 바꿀 수도 있다.

  • 만들 위치 첫 줄에 커서 - 우클릭 - 작성 - 공식 작성(필드명 : 식)
  • 우클릭 - 속성 - 형식 : 안 바뀌면 저장한 후 나가서 다시 들어온 후 서식을 지정하면 된다.
  • 엑셀의 TODAY()는 액세스의 DATE(), 엑셀의 DATE(년,월,일)은 액세스의 DATESERIAL(년,월,일)이다.

- 요약 :  디자인 - 표시/숨기기 - ∑ 요약 => 요약 행이 생성된다.

- 정렬 :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 안 함

- 표시 : 체크하면 보이고 체크를 풀면 보이지 않는다.

 

<쿼리의 종류>

- 선택쿼리 :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쿼리. 레코드를 그룹으로 묶어 계산하는 쿼리를 작성할 수 있다.

- 매개 변수 쿼리 : 실행할 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대화상자를 표시하는 쿼리 (예: Like "*" & [] & "*")

  • 조건에서 같으면 IN (select 필드명 from 개체명) : 중복데이터 검색 쿼리
  • 조건에서 다르면 NOT IN (select 필드명 from 개체명) : 불일치 검색쿼리

- 크로스탭 쿼리 : 테이블의 특정 필드의 요약 값을 표시하는 쿼리(엑셀의 피벗 테이블과 비슷하다.)

  • 쿼리 도구 - [디자인] - 쿼리 유형 - [크로스탭]
  • 행머리글, 열머리글, 값 순으로 배치하고 행 머리글은 3개, 다른 항목은 하나씩만 존재할 수 있다.
  • 행1, 열, 값, 행2, 행3 순으로 배치한다.

- 실행 쿼리 : 기존 테이블 내용을 업데이트(수정), 추가, 삭제 등의 작업을 통해 실제 자료를 변화시키는 쿼리

  • 업데이트 : 쿼리 도구 - [디자인] - 쿼리 유형 - [업데이트] - 조건 지정 - 쿼리 도구 - [디자인] - 결과 - [실행]
  • 추가 : 쿼리 도구 - [디자인] - 쿼리 유형 - [추가] - 저장 - 쿼리 도구 - [디자인] - 결과 - [실행]
  • 비어있으면 is null, 비어있지 않으면 is noy null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14. 15:31

<보고서>

- 보고서는 보고서보기, 디자인보기, 인쇄미리보기로 볼 수 있다.

- ★ 보고서 정렬 및 그룹화 ★ 시험 100% 출제

  • 디자인 - 그룹화 및 정렬 : 정렬이나 그룹을 추가할 수 있다.
  • 정렬과 그룹을 모두 추가할 때 중복되는 항목의 [자세히]를 눌러 설정 할 수 있다. 

- 속성 : 중복 내용 숨기기, 페이지 바꿈

- 함수 : page(현재페이지), pages(전체페이지), date(현재날짜)

- ★ & 기호 사용 시 기호의 앞과 뒤를 반드시 한 칸 띄어야 한다. 

 

<조회 작업>

- 디자인 보기 - 개체 선택 - 속성 - 이벤트 - 코드 작성기

- 대상을 테이블의 필드값, 제시값은 특정 컨트롤

- 폼 속성 - 컨트롤 원본 확인

- 제시값과 같은 컨트롤 클릭 - 컨트롤 원본 확인

- 프로시저의 4단계 작성법

  • "필드=컨트롤"  대상값은 필드이고 제시값은 컨트롤이다.(레코드 원본 참조)
  • "필드='컨트롤'" 컨트롤에 문자가 있다. (''를 사용하는 이유 : 충돌방지)
  • "필드='"컨트롤"'" 컨트롤은 빼내야 한다. (인식을 못해서)
  • "필드='" & 컨트롤 & "'" 끊었으면 붙여야 된다. (& 기호로)

 

- 필터링됨(전체 중에 1개만 보여주고 나머지는 숨김. 전체는 존재)

Me.Filter = "필드='" & 컨트롤 & "'"
Me.FilterOn = True

- 필터링되지 않음(원본 훼손 안됨)

Me.RecordsetClone.FindFirst "필드='" & 컨트롤 & "'"
Me.Bookmark = Me.RecordsetClone.FindFirst

- 필터링되지 않음(레코드 원본을 재지정. 전체 데이터가 아니라 지정된 것만 존재)

Me.RecordSource = "Select * From 개체명 Where 필드='" & 컨트롤 & "'" (*:전체필드, 개체명:테이블명)

- 전체데이터 가져오는 방법

Me.RecordSource = "Select * From 개체명"

- 닫을 때 자동저장

DoCmd.Close ,,acSaveYes

- 조건이 있는 열기

DoCmd.OpenReport 보고서이름, 보기방식(인쇄미리보기:acViewPreview), 필터이름, "필드='" & 컨트롤 & "'"
DoCmd.OpenForm 폼이름, 보기방식(기본보기:acViewNormal), 필터이름, "필드='" & 컨트롤 & "'"

- 오류나지만 알아두기!

DoCmd.ApplyFilter 필터이름, "필드='" & 컨트롤 & "'"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14. 15:31

<폼 속성 지정>

- 디자인 보기와 폼 보기가 있다.

-  폼 보기

  • 폼 머리글 - 레이블 상자 : 제목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 본문 - 텍스트 상자 : 필드명을 써주면 필드의 값을 표시한다.
  • 폼 머리글, 본문, 폼 바닥글 영역은 위 아래로 영역을 늘릴 수 있다.

레코드 원본 : 폼 보기에서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을 때는 연결이 끊어진 것이다. 속성에서 연결해 줘야한다.

- 속성시트 : [폼 디자인 도구] - 도구 - [속성시트] - [모두]탭. 선택한 개체에 따른 유형을 표시한다.

  • 눈금자와 눈금자 사이 네모를 클릭하여 선택 유형을 폼으로 설정하고 속성 시트를 변경해야 한다.
  • 기본보기 : 단일 폼 보기, 연속 폼 조기 등이 있다.

 

<컨트롤 속성 지정>

컨트롤 원본 : 폼 보기에서 데이터가 표시되지 않을 때는 연결이 끊어진 것이다. 속성에서 연결해 줘야한다.

- 텍스트 상자를 만들면 레이블 상자도 같이 만들어진다. (레이블 상자를 자유롭게 움직이려면 갈색 점을 드래그 하면 된다.)

- ★ 탭 순서 : [정렬] 탭 - [탭 순서]

- 레코드 개수 : 모든 레코드를 세는 함수는 무조건 =count(*) 로 쓰면 된다.

- sum, avg, max, min, count 등 집계함수는 컨트롤 값을 사용할 수 없다.

- 함수 : IIF(조건,참값,거짓값)  /  DSUM("[필드명]","개체명","[필드]=[컨트롤]")

 

<콤보 상자 컨트롤 속성>

- 테이블과 유사

 

<컨트롤 하위 폼 삽입>

- 하위 폼 만들기 : 디자인 - 컨트롤 - 하위 폼 보고서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14. 15:31

액세스(Access) : 데이터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용어정리>

  • 표 = 테이블

  • 열 = 필드

  • 행 = 레코드

 

<테이블>

- 테이블 만들기 : [만들기] -> 테이블 -> [테이블디자인]

- 테이블 수정 : 테이블을 만든 후 수정이 가능하다.

  • 필드 추가 : 디자인 보기에서 필드를 추가한다.
  • 필드선택기 : 기본 키, 잘라내기, 복사, 붙여넣기, 행삽입, 행삭제, 속성

- 디자인 보기에서 데이터 시트 보기로 전환할 때는 반드시 저장을 해야한다.(디자인 보기 = 준비, 데이터 시트 보기 = 데이터 입력)

 

<필드의 속성 - 일반>

- 필드 크기 : 255글자까지 쓸 수 있다.

- 형식 : 엑셀의 표시형식과 기능이 비슷하다. 0\점(한 글자일 때), 0"점수" 등등

- 캡션 : 원본데이터는 유지하고 겉모양만 바꿔준다.

- 기본값 : 새로운 레코드가 입력될 때 자동으로 값이 입력되도록 한다.

- 필수 : 반드시 입하도록 설정한다.

- 빈 문자열 허용 : Sparce Bar를 허용할지 말지 결정한다.

- 인덱스 : 아니오, 예(중복 가능), 예(중복 불가능). 중복이 나오면 인덱스이다!

- IME 모드 : 입력의 시작값을 설정한다. (한글, 영숫자 반자, 현재 상태 유지)

- 입력 마스크 : 입력의 형식을 제한하는 기능.

  • 0 : 0~9까지 숫자 필수 입력 (공백X)
  • 9 : 0~9까지 숫자 필수 입력 (공백O)
  • L : A~Z까지 영문 필수 입력 (공백X)
  • ? : A~Z까지 영문 필수 입력 (공백O)
  • <> : 기호 뒤에 오는 모든 영문자를 대문자(>)와 소문자(<)로 변환
  • PASSWORD : 암호화. 입력한 문자는 문자로 저장되고 화면에는 *로 표시
  • 예) 우편번호 필드에 6자리 숫자가 반드시 입력되도록 하되 -기호는 테이블에 함께 저장하고 표시될 때 ###-###으로 표시하라.
  • 입력기호;저장여부;표시기호 : 저장여부 생략 -> 기호를 빼고 저장, 0 표시 -> 기호와 함께 저장 / 예시답 : 000-000;0;#

    - ★ 유효성 검사 규칙 : 입력의 값을 제한하는 기능.

    • 필드는 []로 표시해야한다. 액세스는 LEFT를 숫자로 인지할 수 있다.
    • Left([보호자연락처],3)>=0 And Left([보호자연락처],3)<=100
    • MID는 사용할 수 없다. Like를 사용한다. 반대는 Not Like.
    • Instr 참이면 숫자, 거짓이면 0이 나온다. Instr([성명]," ")=0 공백 입력하지마!

    - 유효성 검사 텍스트 : 유효하지 않은 값이 입력되면 식이 아닌 메시지를 출력한다.

     

    <필드의 속성 - 조회> 100% 출제

    - 행 원본 변경 : 테이블/쿼리(다른 테이블이나 필드 값을 가져옴), 값 목록(직접 작성)

    - 행 원본 : 가져올 테이블이나 필드명, 직접 작성한 값. (열 순서바꾸기 : 블록지정 - 클릭 - 드래그)

    - 바운드 열 : 표시할 열을 지정한다. "1"로 거의 고정

    - 열 개수 : 두 개 이상 데이터를 넣었을 때 열 개수를 맞춰줘야 한다.

    - 열 너비 : 열의 너비를 지정. 열이 두 개 이상일 때, 1열이 값을 0으로 하면 실제 값은 1열이지만 보이는 값은 2열이다.

    - 목록 너비 : 자동(셀의 넓이), 값 지정(목록 상자만 넓어짐)

    - 목록 값만 허용 : 목록 이외의 값은 입력되지 않는다.

     

    <관계 설정>

    - 관계 만들기 : [데이터베이스 도구] - [관계] - [테이블 표시] - 필드 추가 - 드래그 - 속성설정 - [만들기]

    - 관계는 일대일, 일대다, 다대일, 다대다로 만들 수 있다. (일은 1로, 다는 ∞로 표시된다.)

    - 속성에는 '항상 참조 무결성 유지', '관련 필드 모두 업데이트', '관련 레코드 모두 삭제'가 있다.

    - [우클릭-테이블 숨기기]나 [Delete]로 필요 없는 테이블을 지울 수 있다.

    - [관계선-우클릭-삭제]나 [Delete]로 관계를 끊을 수 있다.

    - [관계선-우클릭-관계 편집]으로 관계 편집의 옵션 값을 수정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 [외부 데이터] - 가져오기 및 연결 - 가져올 데이터 유형 선택

    • 현재 데이터 베이스의 새 테이블로 원본 데이터 가져오기 : 테이블을 새로 만든다. 외부 파일을 복사한다.
    • 다음 테이블에 레코드 복사본 추가 : 지정한 테이블에 레코드가 추가된다.
    • 연결 테이블을 만들어 데이터 원본에 연결 :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지만 외부 파일과 연결된다.

    - [외부데이터] - 내보내기 - 내보낼 데이터 유형 선택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6. 04:08

      3부. 인터넷(정보통신)

      12장. 컴퓨터 보안

       

      <1> 방화병(Firewall) 침입 차단 시스템

      - 정의 : 해킹 등에 의한 외부로의 정보유출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보안 시스템

      - 특징

      • 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 방식(확실히 허가 받지 않은 것 금지) vs 패킷 필터링 게이트웨이 방식(확실히 금지되지 않은 것 허가)

      • 방화벽이 제공하는 기능에는 접근 제어, 인증, 감사 추적, 암호화 증이 있다.

      • 보안이 필요한 네트워크의 통로를 단일화하여 관리하므로 외부의 불법 침입으로부터 내부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한다.

      • 역추적 기능이 있어서 외부의 침입자를 역추적하여 흔적을 찾을 수 있다.

      •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패킷은 내용을 엄밀히 체크하여 인증된 패킷만 통과시키는 구조(나가는 것은 그대로 통과)

        - 프록시 서버 : 사용자가 방문했던 내용을 담고 있는 캐시 서버로서 방화벽의 기능까지 지원한다.

         

        <2> 암호화 기법

        - 비밀키 암호화 기법 : DES (암호화키 - 복호화키) -> 대칭형

        • 동일한 키를 이용 ->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빠름 -> 보안 수준이 낮음

        • 복호화 키를 아는 사람은 누구든지 암호문을 복호화 할 수 있음 -> 복호화 키의 비밀 유지 중요

        - 공개키 암호화 기법 : RSA (암호화키 <> 복호화키) -> 비대칭형

        • 서로 다른 키를 이용 -> 속도가 느리고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파일 크기 큼 -> 보안 수준이 높음

        • 암호화 키는 공개, 복호화 키는 비밀 유지

         

        <3> 바이러스, 악성코드

        - 바이러스 예방 방법

        • 새로운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최신 버전의 백신 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검사한 후에 사용한다.
        • 중요한 프로그램이나 자료는 항상 주기적으로 백업을 한다.

        • 백신 프로그램의 시스템 감시 및 인터넷 감시 기능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사전에 검색한다.

        - 파일 바이러스 진단법

        • 파일 실행 시 속도를 검사해 본다.

        • 파일 크기 증가 여부를 확인한다.

        • 파일의 속성이 변경됐는지를 확인해 본다.

        - 악성코드(malware) : 악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유해 프로그램을 말한다.

        • 때로는 실행하지 않은 파일이 저절로 삭제되거나 변형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 대표적인 악성 코드로 스파이웨어, 트로이 목마 등이 있다.

         

        <4> 해킹 기법

        - 해커 : MIT 공대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열중하는 개발자들을 지징하는 좋은 의미로 출발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 최근에는 해커와 크래커를 구분하지 않고 해커로 통칭하여 부정적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 크래커 : 남의 보안 시스템에 몰래 침입하여 불법행위(크래킹)를 하는 사람들

        - DDOS(분산형 서비스 방해) : 여러 대의 컴퓨터를 일제히 동작하게 하여 특정 사이트를 공격 -> 정상적 서비스를 할 수 없도록

        - 스푸핑(spoofing) : 악용하고자하는 호스트의 IP 주소나 이메일 주소를 위장해 이를 통해 해킹 -> 유명 도메인과 흡사하게 만들어 접속을 유도

        - 사칭 :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훔쳐내어 시스템에 접근하는 방법

        - 워 드라이빙(war driving) :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타인의 무선 구내 정보 통신망에 무단으로 접속하는 행위

        - 스니퍼(Sniffer) : 통신선상에 전송되고 있는 정보를 상대방 모르게 가로채는 방법

        - 피싱(phishing) : 개인 정보(private data)와 낚시(fishing)의 합성어로 낚시하듯이 개인 정보를 몰래 빼내는 것

        - 키로거(Key Logger) : 키보드 움직임을 탐지해 개인의 중요한 정보를 몰래 빼가는 해킹 공격

        - 가로채기(interception) : 전송한 자료가 수신지로 가는 도중에 몰래 보거나 도청하는 행위

         

        <5> 보안

        - 정의 : 컴퓨터를 외부의 불법적인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 보안 요소

        • 기밀성 :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 및 전송 정보가 인가 당사자만 읽을 수 있도록 통제한다.

        • 데이터 근원 인증 : 메시지의 출처가 정확히 확인되고, 그 실체의 신분이 거짓이 아님을 확인한다.

        • 무결성 : 컴퓨터 시스템 및 전송 정보가 오직 인가 당사자에 의해서만 수정될 수 있도록 한다.

        • 부인 봉쇄(방지) : 송신측이 정보를 보냈지만 수신측이 부인하거나 수신측이 받았는데 송신측이 보낸 것을 부인하는 것을 방지 -> 전자서명

        • 접근 제어 : 허가박지 않은 사용자의 접속을 차단

        - VPN(virtual private network) : 공중망을 사설망처럼 이용해 회선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기업통신서비스 (보안 기술 필요)

        - 용어

        • SSL : 인터넷 상거래 시 필요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개인 정보 유지 프로토콜

        • PGP : 인터넷에서 전달하는 전자우편을 다른 사람이 받아 볼 수 없도록 암호화하고, 받은 전자우편의 암호를 해석해주는 프로그램

        • PEM : 이메일은 무수한 호스트를 거치는 과정에서 탈취/변조/위조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내용을 암호화하여 제3자가 알아볼 수 없게 한다.

         

        <6> 기타 용어

        - 미러 사이트 : 접속량이 많은 사이트에서 접속의 어려움과 속도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세계 곳곳의 다른 사이트에 정보를 복사하여 저장한 것

        - 인터넷 검색 엔진 : 정보수집 프로그램을 이용해 대량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하이퍼텍스트 기법을 통해 편리하게 정보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

        • 주제별 검색 엔진 : 각 분야별로 분류되어 있는 항목을 클릭하여 그 분야의 세부항목으로 들어가서 원하는 정보를 찾는 방식

        • 키워드별 검색 엔진 : 찾으려는 정보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하여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 (키워드가 정확하지 않을 때는 찾기 힘듦)

        • 메타 검색 엔진 : 로못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여러 검색 엔진을 참조해 정보를 찾아주는 검색 엔진. (다른 검색 엔진의 결과를 보여줌)

        - 정보 검색 과정의 단계 : 찾고자 하는 내용 분석 - 키워드 추출 - 검색 엔진 선택 - 검색식 주성 - 검색 시작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6. 01:09

        3부. 인터넷(정보통신)

        11장. 멀티미디어

         

        <1> 멀티미디어

        - 정의 : 음성, 문자, 그림, 동영상 등이 혼합된 다양한 매체

        - 특징

        • 디지털화 : 여러 종류의 정보를 컴퓨터로 처리하기 위해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 상호작용성 : 정보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의견을 통한 상호 작용에 의해 데이터가 전달된다.

        • 비선형성 : 데이터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처리된다.

        • 정보의 통합성 :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여러 미디어를 통합하여 처리한다.

        - 초기의 컴퓨터는 문자만 처리할 수 있었으나 정보인식 및 표현 기술이 발전함으로써 문자 이외의 다양한 매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2> 스트리밍 (실시간 재생)

        - 정의 :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면서 동시에 재생하는 기술

        - 스트리밍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는 인터넷 방송이나 원격 교육 등이 있다. (컴퓨터 저장 안됨)

        - 스트리밍으로 재생 가능한 데이터 형식 : ram, asf, wma 등 (Windows Media Player는 스트리밍을 지원한다)

         

        <3> 멀티미디어 - 음성 MIDI, WAV, MP3

        MIDI : 전자 악기간의 데이터 교류를 위한 음악의 연주 정보와 여러 가지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연주 통신 프로토콜

        • 음의 높이, 길이, 강약 등과 같은 연주 방법에 대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 효과음은 저장 안되고 연주 정보만 저장 -> 용량 작음

        • 학기 소리의 개수는 최대 16개이다.

        WAV : 마이크로소프트와 IBM 오디오 파일 포맷 표준

        •  아날로그(소리의 파장)을 디지털 형식으로 컴퓨터에 저장한다.

        • 파일 크기 : 샘플링 주기(Hz) X 샘플링 크기 X 시간(초) X 재생 방식(모노:1, 스테레오:2)

        • 실제 소리가 저장 -> 용량이 큼

        MP3(MPEG Audio Layer-3) : 고음질의 오디오 압축기술

        • 음반 CD에 가까운 음직을 유지하면서 CD의 50배로 압축이 가능하다 -> P2P 사용

        • MPEG : 동영상 전문가 그룹에서 제정한 동영상 압축 기술에 관한 국제 표준 규격. 동영상 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도 압축할 수 있다.

        데이터 압축

        - 정의 : 데이터 집합의 크기를 절약하거나 전송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데이터를 좀 더 적은 수의 비트를 사용하도록 부호화하는 것

        -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중복된 비트열 또는 패턴을 삭제하고 대신 좀 더 적은 수의 비트 또는 요약 형식으로 부호화한다.

        - 요약 형식을 복호화하면 원래의 데이터가 복원된다.

        - 압축 방법에는 무손실 압축 방법손실 압축 방법이 있다.

        - 문장이나 부호 데이터, 수치 데이터 등의 압축에는 반드시 무손실 압축 방법을 사용해야하지만 영상/음성 압축에는 손실 압축 방법도 사용한다.

         

        <4> 멀티미디어 - 이미지

        - JPEG : 사진 등의 정지 화상을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서 압축하는 기술의 표준(다른 포맥의 10분의 1 정도 용량)

        • 24비트 컬러로 약 1600만가지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 손실 압축과 무손실 압축을 모두 지원 -> 압축률이 뛰어나므로 인터넷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 압축률 높일수록 화질은 감소

        - GIF : 이미지의 전송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압축 저장하는 방식 중 하나

        • 인터넷 표준 그래픽 형식이다. 애니메이션을 표현할 수 있다.

        • 8비트 컬러로 256가지의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전송 속도 빠름)

        • 무손식 압축 지원 -> JPEG에 비해 압축률 떨어짐 -> 원본 그림을 손상시키지 않아 이미지 손상 적음

        - BMP : Windows의 표준 비트맵 파일 형식

        • 고용량, 고해상도

        • 비트맵 이미지 용량 계산 : 가로 픽셀 수 X 세로 픽셀 수 X 픽셀 크기 X 압축률

        - 이미지 표현 방식

        • 비트맵 : 작은 들로써 그림을 이루는 이미지 파일 형식. 고용량, 고해상도

        * GIF, JPEG, PNG, TIFF, BMP, PCT, PCX 등 확장자로 저장되며, 보통 폰트나 이미지에서 사용된다.

        * 실물 사진이나 복잡하고 세밀한 이미지 표현에 적합하다.

        * 벡터 방식의 이미지를 저장했을 때 보다 많은 메모리를 차지한다.

        * 확대하면 계산 현상(앨리어싱)이 발생함 -> 안티엘리어싱(계단 현상을 없애기 위해 경계선을 부드럽게 해주는 기술) 처리를 해야함

        • 벡터 :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구성. 저용량, 단순 도형

        * 확대하여도 화질에 손상이 없다.

        * 대표적으로 WMF 파일 형식이 있다.

        *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면서 단순한 드로잉(선으로 표현) 이미지를 표현하기 적합한 방식이다.

        - 이미지 처리 기법

        • 디더링(Dithering) : 제한된 색상을 조합하여 복잡한 색이나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색상을 줄이면 용량이 감소)

        • 랜더링(Rendering) : 3차원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과정 중의 하나로 물체의 모형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서 사실감을 더해 주는 작업

        • 모핑(Morphing) : 2개의 이미지를 부드럽게 연결하여 변환/통합하는 작업

        • 인터레이싱(Interlacing) : 전체 이미지가 처음에는 흐릭하게 보이다가 점점 선명해지는 기법

         

        <5> 멀티미디어 - 동영상

        - MPEG : 동영상 전문가 그룹에서 제정한 동영상 압축 기술에 관한 국제 표준 규격으로 동영상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도 압축할 수 있다.

        • 정지영상 압축 기술인 JPEG 기술을 사용한다.

        • 중복 데이터를 제거함으로써 압축률을 높이는 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한다.

        • 양방향 멀티미디어의 구현을 통해 화상통신이 가능하다.

        * MPEG-1 : CD-ROM, VHS 테이프 수준의 동영상과 음향

        * MPEG-2 : 디지털 TV, 대화형 TV, DVD

        * MPEG-3 : 고화질 TV(HDTV)

        * MPEG-4 : 멀티미디어 통신을 전제로 만들어진 영상 압축 기술. 낮은 전송률로 동영상을 보내고자 개발.

        * MPEG-7 : 동영상 데이터 검색과 전자상거래 등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차세대 동영상 압축 재생기술

        * MPEG-21 : MPEG1, MPEG2, MPEG4 등 MPEG 관련 기술을 통합

        * DviX : 영상부분은 MPEG4, 음성부분은 MP3를 채택하여 재조합. 비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이지만 DVD 수준의 고화질 파일

        - AVI : MS사의 Windows 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 고용량, 고화질

        • 많은 압축 코덱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파일을 만들 수 있다.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고유 포맷이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에서는 그 시스템에 맞게 변환해야 볼 수 있다.

        - ASF : MS사에서 개발. 용량이 작고 음질이 뛰어나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는 인터넷 방송국에서 사용된다.

        - 퀵타임(Quick Time MOV) : 애플사에서 개발한 JPEG 압축 방식의 동영상 압축 기술. 윈도우에서 재생하려면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 DVI(Digital Video Interface) : TV나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컴퓨터에서 보거나 편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

        • 디지털 TV를 만들 목적으로 개발한 영상 압축 기술이다.

        • 대용량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CD-ROM에 담을 수 있다.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5. 19:35

        3부. 인터넷(정보통신)

        10장. 통신 장비 & 오류 검출

         

        <1> OSI 7계층

        - 정의 :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안한 7단계 표준화 프로토콜

        * 하위 계층(1~3계층), 상위 계층(4~7계층)

        <2> TCP/IP

        - 정의 :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연결 표준 프로토콜

        - 링크 계층 : 데이터 전송할 수 있도록 물리적/논리적 연결(Ethernet, IEEE802, HDLC, X.25, RS-232C)

        - 인터넷 계층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해석, 복잡한 인터넷 길 중에서 경로 설정 (IP, ICMP, ARP, RARP)

        • IP : 오류 무시 -> 신뢰성 down

        • ICMP : 오류 정보 발견시 송신측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 -> IP 신뢰성 보완

        - 전송 계층 : 전송 방식 결정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 TCP : 연결을 설정한 후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교환. 오류/상황보고, 순서/오류/흐름제어 기능. 연결형 -> 신뢰성 up

        • UDP : 비연결형태 -> 신뢰성 down, 속도 up (실시간 전송 유리)

        * 패킷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자른 데이터의 전송단위

        - 응용 계층 : 데이터 송신/수신(Telnet, FTP, SMTP, HTTP, NNTP, SNMP, DNS)

        • SMTP :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 감시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UDT 상에 정의 -> TCP/IP X)

         

        <3> 정보 통신망 용어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컴퓨터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하는 통신수단

        • 별도의 회선을 설치하지 않고도 기존에 사용하던 전화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 양쪽 방향의 전송 속도가 다름 : 다운로드 속도 > 업로드 속도. -> 속도도 느리고 원활한 양방향 서비스 X

        HDSL(High-bit-rate DSL) : 대칭형. 북미 기준으로는 T1 회선, 유럽기준으로는 E1 회선 수준의 속조로 데이터를 전송

        • T1 회선 : T는 Tera(10의 12승, 즉 1조를 의미하는 접두어)의 준말로 미국의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1.5Mbps급 디지털 회선을 말한다.

        • E1 회선 : 2Mbps

        • 전용 회선에서 각 회선의 최대 전송 속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 : T1 -> E1 -> T2 -> E2 -> E3 -> T3

        VDSL(Very high-data rate DSL) :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다운/업로드 속도가 빠름 -> 대용량 파일 송/수신과 고화질동영상 감상에 적합

        - LAN : 근거리 통신망. 동일 건물내에서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고속전송회선 네트워크. LAN(로컬) < MAN(메트로폴리탄) < WAN(와이드)

        - VAN : 부가 가치 통신망. 정보 제공 시 통신 회선을 임차하여 사설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부가적인 정보 서비스를 유통시키는 정보 통신 서비스

        - 인트라넷 :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기업 내부의 업무를 해결하려는 네트워크 환경

        - ISDN : 종합 정보 통신망. 동일한 통신망으로 음성(전화), 비음성(컴퓨터)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망

        - B-ISDN : 광대역(고속) ISDN. 데이터, 음성, 고해상도의 동영상 등 다양한 서비스를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고속 통신망

         

        <4> 통신 장비 (연동 장치)

        - 정의 :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장비

        - 허브(Hub) : 컴퓨터 연결 장치 -> LAN에 있어서 통합회선 관리

        • 더미(Dummy) 허브 :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컴퓨터 수만큼으로 나누어 제공 (성형 구조)

        • 스위칭(Switching) 허브 : 각각의 노드가 최대 대역폭으로 사용

        - 리피터(Repeater) : 장거리 전송 -> 신호 증폭 (OSI 1계층 물리계층 장비)

        - 브리지(Bridge) : 동종 LAN 연결 (OSI 2계층 데이터링크계층 장비)

        -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를 연결 + 최적 경로 설정

        - 게이트웨이(Gateway) : 다른 네트워크 사이를 결합

        • 주로 LAN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데 사용되는 통신 장비이다.

        •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된다.

        • 프로토콜 변환기능을 내포하며 OSI 참조 모델의 7계층까지를 포함하는 연동장치이다.

         

        <5> 오류 검출 방식

        - 페리티 검사 : 짝수(우수) 패리티(1000 0010), 홀수 패리티(10000 0011) -> 문제점은 짝수 개의 비트 오류일 경우 검출이 되지 않는다.

        - 블록합 검사(BSC) : 패리티 검사 단점을 보완. 짝수 개의 비트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 CRC(Cyclic Redundancy Check) : 순환 중복 검사. 정정 X

        1. 송신측에서 데이터로부터 다항식에 의해 나온 여분의 오류검사 비트열(Frame Check Sequence)을 데이터에 덧붙여 보낸다.

        2. 수신측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결과와의 일치로 오류검사를 한다.

        - 해밍 코드 : 2비트의 에러 검출 및 1비트의 에러 교정이 가능한 방식. 정정 O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5. 17:09

        3부. 인터넷(정보통신)

        9장. 인터넷 서비스

        * 포트 번호 : 상호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번호. 범위는 0~65535. 

        <1> WWW 멀티미디어 정보 (포트 : 80)

        정의 : 하이퍼텍스트으로 하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문자 기반이 아님)

        - 멀티미디어 형식의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 웹페이지는 서버에서 정보를 제공하여 주고 클라이언트에서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정보를 검색하고 제공받는다.

         

        <2> Telnet 원격 서비스 (포트 : 23)

        정의 :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를 연결하여 자신의 로컬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3> FTP 파일 전송 (포트 : 21)

        정의 : 파일의 업로드나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서비스 (프로그램 실행 안됨 -> 실행은 Telnet)

        - 특징

        • FTP 서버에서 파일을 다운받을 때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FTP 유틸리티(WS-FTP, Cute FTP)를 설치하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경우 : 주소창에 FTP://아이디:비밀번호@주소 (비밀번호는 생략 가능)

        • 포트 번호를 다른 번호로 변경할 수 있다.

        - 전송 모드 : 전송 파일에 따라 전송이 안되는 경우에는 전송 모드를 확인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자동 설정)

        • ASCII Mode : 텍스트 파일 전송 (.txt)
        • Binary Mode : 그림파일, 동영상, 실행 파일 등을 전송 (.avi .jpg .exe 등)

        - 접근 권한 : 기본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계정이 있어야 한다. anonymous FTP는 계정이 없는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다.

        - 기본 명령어 : get(한 개의 파일 다운로드), mget(여러 개의 파일 다운로드), put 또는 send(한 개의 파일 업로드)

         

        <4> 전자 우편 E-mail

        정의 : 인터넷 이용자 간에 전자 우편을 주고받게 해주는 서비스

        - 특징 : 전자 우편 주소는 자신의 계정(ID)과 도메인 이름을 @로 연결하여 표시한다. 기본적으로 7bit의 ASCII 코드를 사용한다.

        - 주요 기능

        • 회신 : 받은 메일에 대하여 답장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것

        • 전체회신 : 답장을 보낸사람, 참조까지 전송하는 것

        • 전달 : 받은 메일의 내용을 제3자에세 전송하는 것

        • 통보 : 여러 명에세 동시에 같은 내용의 메일을 전송하는 것

        - 전자우편 프로토콜 : SMTP(송신 프로토콜), POP3/IMAP(수신 프로토콜), MIME(멀티미디어 메일을 조고 받는 프로토콜)

         

        <5> Usenet User Network의 약어. =뉴스그룹 (포트 : 119)

        정의 : 전자게시판의 일종으로 특정한 주제나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게시하거나 관련 분야에 대한 자료를 등록할 수 있는 전세계적인 토론 시스템

        - 특징

        • 분야별로 그룹을 나누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거나 타인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

        •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뉴스 리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뉴스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NNTP(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 메일링 리스트 :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 교환 및 토론을 위해 전자우편 형태로 운영되는 서비스

        - 뉴스그룹에서 사용되는 용어 : Posting(기사를 뉴스그룹에 올리는 것), Thread(어떤 내용에 대한 기사, 질문, 답변을 묶어서 정리한 체계)

        - 한글로 된 뉴스그룹 주소 : han.* (예: han.test 한글 연습용 그룹)

         

        <6> IRC(Internet Relay Chat)

        정의 : 인터넷 상에서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7> 아키(Archie)

        정의 : 전 세계적으로 퍼져있는 Anonymous FTP 서버 내의 파일 리스트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 서비스

         

        <8> 고퍼(Gopher)

        정의 : 정보의 내용을 주제별이나 종류별로 구분하여 메뉴로 구성. 메뉴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정보검색 서비스 (예: 구글->뉴스,사진..)

         

        <9> 와이스(WAIS: Wide Area Information Service)

        정의 : 인터넷에 흩어져 있는 여러 곳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

         

        <10> 핑거(Finger)

        정의 :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알아보기 위한 서비스

         

        <11> PING(Packet Internet Gopher)

        정의 : 네트워크상에서 원격으로 대상이 되는 장비의 연결 상태 및 작동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4. 23:21

        3부. 인터넷(정보통신)

        8장. 통신 기초

         

        <1> 아날로그 vs 디지털 신호

        아날로그 신호 : 셀 수 없는 연속적인 값 (소리, 온도 등)

        디지털 신호 : 셀 수 있는 비연속적(이산적)인 값 (숫자 등)

         

        <2> 직렬 전송 vs 병렬 전송

        직렬 전송(통신망) : 하나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한 비트씩 순서적으로 전송. 전속 속도가 느리지만 구성 비용이 적게 듬 -> 원거리 전송

        렬 전송(컴퓨터 내부 통신) : 각 비트들을 여러 개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동시에 전송. 전송 속도는 빠르지만 구성 비용이 많이 듬 -> 근거리 전송

         

        <3> 네트워크 구성 형태

        성형(스타형) : 중앙 컴퓨터 또는 교환기를 중심으로 주위의 컴퓨터들과 1:1로 접속하는 방식 -> 고장 발견 쉬움, 유지 보수 용이

        버스형 :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접속 -> 증설이나 삭제가 용이

        형 : 서로 이웃하는 컴퓨터들끼리 원형으로 연결 -> 양방향 통신 가능

        - 계층형 : 부모 사이트가 고장 나면 그 자식 사이트들은 통신이 불가능함

        (Mesh) : 모든 컴퓨터를 각각의 전용 통신 회선으로 연결 -> 회선 장애 시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

         

        <4>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정의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 (예: 211.46.179.177)

        -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 숫자로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 A~E 클래스로 나뉜다.

        * 서브넷 마스크 : IP주소의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별하기 위한 주소

        -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 숫자로 16비트씩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 각각 4자리의 16진수로 표현하고, 콜론으로 구분한다.

        • 특징 : 현재 사용하는 IPv4의 주소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개발. 확장성, 융통성, 연동성, 품질, 보안, 속도, 멀티미디어 기능 우수

        • 주소할당 방법 : 유니캐스트(1:1 통신), 멀티캐스트(1:多 통신), 애니캐스트(1:1 통신,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수신자 간 통신)

        -> 유형에 맞도록 할당되므로 주소의 낭비 요인을 줄이고 간단하게 주소를 결정할 수 있다.

         

        <5> 도메인 네임(Domain Name)

        정의 : IP 주소를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단어식으로 표현한 것. 오른쪽으로 갈수록 범위가 넓어지는 계층형 구조갖는다.

        - DNS(Domain Name System) :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 간의 변환을 제공하는 시스템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RARP(Reverse ARP) : IP 주소를 물리적 주소(MAC Address)로 변환 / 물리적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 DHCP(동적 호스트 설정 통신 규약) : 컴퓨터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기능. 클라이언트가 동적 IP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게 해준다.

        - 고정/유동 IP : 자신의 컴퓨터에 할당된 자신만의 고유한 주소 / 컴퓨터를 껐다켜면 바뀔 수 있는 주소

        * 인터넷 회선을 사용할 때 컴퓨터를 켜면 DHCP로 IP를 할당받고, 끄면 DHCP의 여분 IP로 남게 되어 다른 곳에서 요구하면 또 할당되는 방식

         

        <6> 무선 인터넷 관련 용어

        - WIPI : 이동통신 업체들 간에 같은 플랫폼을 사용토록 함으로써 국가적 낭비를 줄이자는 목적으로 추진된 한국형 무선인터넷 플랫폼

        - 유비쿼터스 : 라틴어로 '편재하다'.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

        - 블루투스 : 근거리 무선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통신기술

        - WAP : 이동형 단말기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고안된 통신규약 (WTP는 WAP의 한 계층)

        - WML(Wireless Markup Language) : 무선 접속을 통해 PDA나 휴대전화 같은 이동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해주는 언어

        WLL(Wireless Local Loop) : 전화국에서 전화가입자의 집까지를 연결하는 유선 선로 대신 무선 시스템을 이용해 전화선을 구성해주는 것

        * VoIP(Voice Over IP) : 인터넷을 통해 통화할 수 있는 통신기술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3. 21:02

        2부. 컴퓨터

        7장. PC관리 및 저작권법

         

        <1> PC 업그레이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 향상된 기능을 가진 새 버전으로 교체. (예: Windows XP -> Windows 7)

        -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 컴퓨터 처리 성능의 개선

        • CPU 업그레이드 : 기존 메인보드의 지원여부 확인 후 지원하지 않으면 메인보드와 함께 교체, CPU의 핀 수/크기를 확인 후 교체

        • RAM 업그레이드 : 형태, 속도, 핀 수, 용량, 꽂을 자리,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메모리의 최대 크기 등을 확인 후 추가

        - 업그레이드 시 고려할 사항

        • 수치가 클수록 좋은 것 : MHz(CPU클럭속도), bps(모뎀속도), 배속(CD속도), GB(하드용량), RPM(하드회전수), MB/s(하드속도)

        • 수치가 작을수록 좋은 것 : ns(RAM 접근 속도)

         

        <2> PC 부팅 오류

        - 전원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 : 전원 연결선이나 전원 공급기를 확인한다. 전원 공급장치나 메인보드가 불량일 경우 부품교체나 A/S를 요청한다.

        - '삐~'하는 경고음만 나는 경우 : RAM과 CPU 연결을 확인한다. VGA 카드를 제거한 후 부팅하여 VGA가 원인인지를 확인한다.

        - Non-System disk / disk error : CM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가 인식되는지 확인한다.

        • 하드디스크가 인식될 경우 : 부팅 시 [F8](고급 부팅 옵션) - [컴퓨터 복구] - [시동 복구]를 수행한 다음 재부팅한다.

        •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  BIOS 설정을 초기화한 후 부팅한다.

        • 하드디스크가 불량일 경우 : A/S를 요청한다.

        - Disk boot failure.. : 부팅에 필요한 디스크를 찾을 수 없다는 오류이므로 Windows 7 설치 CD를 넣고 컴퓨터 복구를 수행한다.

        - BIOS 업데이트 후 부팅이 안되는 경우 : ROM BIOS가 손상되었는지 확인하고, 메인보드를 점검하여 만약 이상이 있다면 A/S를 요청한다.

        - Drivers failure Invaild configuration press <F1> to Continue : 하드디스크 구성 정보가 CMOS에 정확히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고 변경한다.

         

        <3> 하드디스크 오류

        - 인식 X : 전원 연결 상태, CMOS설정과 하드디스크 타입 일치 여부, 바이러스, 케이블 선의 핀 연결 상태, 점퍼 스위치 설정 상태 확인한다.

        - 작동 X : 해당 장치 고장 유무, 중복 설치 여부, 서로 다른 장치가 같은 IRQ를 사용하는가, 설치된 장치에 적합한 드라이버를 설치했는가 확인한다.

         

        <4> 저작권법

        - 정의 : 저작물을 창작한 자에게 주어지는 권리(한미 FTA 비준동의안과 함께 국회를 통과)

        - 목적 :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사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한다.

        - 저작물 예시 : 어문저작물(소설, 시 등), 음악저작물, 연극저작물, 미술저작물,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 등

        - 저작권법 관련 용어

        •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 : 컴퓨터 등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사용되는 일련의 지시/명령으로 표현된 창작물(예: 엑셀, 한글 등)

        • 복제 : 인쇄, 사진촬영,복사, 녹음, 녹화 등의 방법으로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유형물에 고정하거나 다시 제작하는 것

        • 배포 : 저작물의 원본 또는 복제물을 공중에게 대가를 받거나 받지 아니하고 양도 또는 대여하는 것 (예: 책자)

        • 발행 : 저작물 또는 음반을 공중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복제/배포하는 것

        • 공표 : 저작물을 공연, 공중송신, 전시 등의 방법으로 공중에게 공개하는 경우와 저작물을 발행하는 경우

        • 프로그램코드역분석 : 독립적으로 창작된 CPW와 다른 CPW와의 호환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CPW코드를 복제 또는 변환하는 곳

        (CPW =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이 길어서 줄임)

        - 저작물 이용과정에서의 일시적 복제 : 컴퓨터에서 저작물을 이용하는 경우 원할하고 효율적인 정보처리를 위하여 일시적으로 복제할 수 있다.

        • 저작물의 이용이 저작권을 침해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원활하고 효율적인 정보처리 : 인터넷 검색, 웹서핑

        • 일시적 복제 : 프로그램의 일부가 RAM에 저장되거나, 스트리밍으로 음악 등을 들을 때 부분적으로 파일이 PC에 저장되는 것

        - 배타적발행권 : 기존 발행 이외에 복제 '전송'할 권리를 포괄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 기존 저작물에만 적용된 것을 전체로 확대.

        배타적발행권 설정 : 저작물을 발행/복제/전송할 권리를 가진 자는 그 저작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자에 대하여 배타적 권리를 설정할 수 있다.

        - 저작권 발생 : 저작물이 창작된 때로부터 발생(절차나 형식의 이행을 필요로 하지 않음)

        - 저작권의 보호기간 :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저작자의 생존하는 동안과 사망 후 70간 존속

        • 공동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은 맨 마지막으로 사망한 저작자의 사망 후 70년간 존속한다.

        • 무명 또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은 공표된 때부터 70년간 존속한다.

        • 업무상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은 공표한 때부터 70년간 존속한다. 다만 창작한 후 공표하지 않은 경우에는 창작한 때부터 70년간 존속한다.

        - 저작인격권

        • 공표권 : 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을 공표하거나 공표하지 아니할 것을 결정할 권리를 가진다.

        • 성명표시권 : 저작자는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에 또는 저작물의 공표 매체에 그의 실명 또는 이명의 표시할 권리를 가진다.

        • 동일성유지권 : 저작자는 그의 저작물의 내용, 형식 및 제호의 동일성을 유지할 권리를 가진다.

        - 기타

        •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 폐지 (2009년 7월)

        • 프로그램 저작권자가 불명인 경우 문체부장관의 승인을 얻은 후 문체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의한 보상금을 공탁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 저작재산권자 전원의 합의가 있어야 공동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다.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7. 1. 2. 17:27

        2부. 컴퓨터

        6장. 소프트웨어

         

        <1> 소프트웨어

        정의 : 컴퓨터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명령어들의 집합

        -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분류

        • 시스템 소프트웨어 : 시스템 전체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컴파일러, 인터프리터, 연결 편집 프로그램, 프리프로세서 등)

        • 응용 소프트웨어 : 사용자가 실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 프로그램(OA용, 통신용, 그래픽, 멀티미디어 등)

        • 유틸리티 : 압축, 디스크 관리, 백신 등의 프로그램

        - 저작권에 따른 소프트웨어 분류

        • 애드웨어 : 광고를 보는 대가로 무료로 사용하느 소프트웨어

        • 셰어웨어 : 일정 기간 또는 일정 기능이 제한된 상태로 공개하는 프로그램. 일종의 맛보기 프로그램이다.

        • 프리웨어 : 개발자가 소스를 공개한 소프트웨어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 번들 : 특정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였을 때 끼워주는 소프트웨어

         

        <2>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3> 프로그램 처리 순서

        - 원시 프로그램 -> 컴파일러 -> 목적 프로그램 ->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 로더

         

        <4> 연결 편집 프로그램(Linkage Editor)

        - 서로 독립되어 컴파일된 여러 개의 목적 프로그램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로드 모듈로 만드는 기능

         

        <5> 프리프로세서(Preprocessor) 앞 처리기

        - 중심적인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의 조건에 맞추기 위한 사전 처리나 사전 준비적인 계산

        - 쉽게 말해서 고급언어를 또 다른 고급언어로 번역하는 고급언어 번역기. 통일된 언어로 모두 맞추어 놓은 다음 컴파일러로 번역을 한다.

         

        <6> 데이터 압축

        - 목적 : 저장 공간의 절약과 통신 속도의 향상. 기억장치의 용량을 초과할 때 유용하게 사용한다. (AAAAA -> A5)

        - 특징

        • 압축 방식은 중복의 형태나 처리방법에 따라 상이하다.

        • 압축 기술은 파일에서 비트 패턴이 자주 반복된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 압축 대상에 따라 파일 압축, 디스크 압축, 실행 파일로 압축 등이 있다.

        • 파일 압축 프로그램에는 ARJ, PKZIP, RAR, LHA 등이 있다.

        • 압축 파일을 재압축하는 방식으로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X)

        • 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하드웨어로 구현은 할 수 없다. (X)

         

        <7> 프로그래밍 언어 - 웹프로그래밍 언어

        정의 : 웹(인터넷) 문서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언어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하이퍼텍스트(링크 연결)를 작성하기 위해 개발

        - DHTML(Dynamic HTML) : 동적 HTML. 애니메이션 강화

        -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확장된 생성 언어. HTML을 획기적으로 개선 -> 문서 표준화

        * 구조화된 문서 제작용 언어. 태그의 사용자 정의가 가능. 각 문서가 트리 구조로 되어 있어 데이터 재사용과 정보 검색이 용이하다.

        - WML(Wireless Markup Language) : 무선 접속을 통해 PDA나 휴대전화 같은 이동 단말기에 표시괼 수 있도록 해주는 언어.

        -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 객체 지향의 방법론별로 제안되어 표기법이 여어 가지였던 모델링 언어의 표준화를 꾀한 것이다.

        -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 웹상에서 3차원 가상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언어

        - JSP(JavaServer Pages) : HTML 내에 자바 코드를 삽입하여 웹 서버에서 동적으로 웹페이지를 생성하여 웹 브라우저에 돌려주는 언어

        * 자바를 이용한 서버축 스크립트(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작은 프로그램)이며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하다.

        * 자바 스크립트 : 클라이언트측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 애플릿(applet) : HTML 문서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자바 프로그램

        - ASP(Active Server Pages) : 서버 측에서 동적으로 처리되는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사 언어(리눅스 X)

        * PHP : 리눅스 등의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6. 12. 29. 20:36

        2부. 컴퓨터

        5장. 하드웨어

         

        <컴퓨터의 구성 요소>

        하드웨어(Hardware) : 한 번 생산되면 바뀌지 않는 딱딱한 제품

        • 본체 : 프로세서, 주 기억장치, 보조 기억장치, 메인보드

        • 주변장치 : 입력장치(마우스, 키보드), 출력장치(모니터, 프린트)

        - 소프트웨어(Software) : 생산 후에도 수정할 수 있는 부드러운 제품

         

        <1> 프로세서

        제어장치 : 명령을 꺼내서 해독하고, 시스템 전체에 지시 신호를 내는 장치

        연산장치 : 실제 연산을 하는 장치

        * 제어장치와 연산장치의 처리 과정 : 데이터입력(입) - 메모리에 저장 - CPU 호출 - CPU 해독 - CPU 연산 - 정보가 보여짐(출)

        - 레지스터(기억) : CPU 속에서 일시적으로 값을 기억하는 임시기억장소

        • PC(ProgramCounter, 명령계수기) : 다음에 실행할 명령의 번지를 기억한다.

        • IR(Instruction Register) : 현재 수행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한다.

        • ACC(Accumulator, 누산기) :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 버스(전달) : 장치들 간 상호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연결하는 공동의 전송선

        - 설계 방식

        • RISC : 간단한 명령만 하드웨어에 준비되어 있는 컴퓨터. 용도 워크스테이션, 프로그래밍 복잡

        • CISC : 명령어 많음, 전력소모 많음, 처리속도 느림, 레지스터 적음, 가격 고가, 용도 PC, 프로그래밍 간단

         

        클럭 주파수 (프로세서 속도, Hz)
        • CPU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전기적 진동을 공급받아야 한다.

        • 1초에 1번 작동하는 것을 1Hz라고 한다. 따라서 200Hz라고 하면 1초에 2억 번의 사이클로 디지털 신호를 발생한다.

        • 클럭 수가 높을수록 컴퓨터의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메인보드

        정의 : 컴퓨터 내에서 기본회로와 부품들을 담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하드웨어

        - 구성 요소

        • 칩셋 : 메인 보드를 관리하기 위하 정보롸 각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가 들어 있다.

        * 노스 브리지 : CPU, 메모리, 그래픽 카드 같은 빠른 속도를 제어하는 칩셋

        * 사우스 브리지 : 기타 낮은 속도의 장비(HDD, 사운드 카드, 마우스, 키보드, BIOS 등)를 제어하는 칩셋

        * 칩셋이 보여지는 과정 : 키보드 입력 - 사우스 브리지 - 노스 브리지 - RAM - CPU - 노스 브리지 - 그래픽 카드 - 모니터 출력

        • 포트 : 메인 보드와 주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 직렬 포트, 병렬 포트, PS/2 포트, USB 포트 등이 있다.

        • ROM 바이오스 :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모아놓은 프로그램

        • 버스 :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로. 사용 용도에 따라 내부 버스, 외부 버스, 확장 버스가 있다.

        * 확장 버스 : ISA(8~16bit, 초기 컴퓨터), PCI(32bit, 64bit까지 지원), AGP(64bit, PCI 개선한 것. 고성능 그래픽 카드를 위한 인터페이스)

        • 내장 전지 : 전원 장치와 별도로 RTC(Real Time Clock) 장치와 BIOS가 기록된 CMOS SRAM에 전력을 공급한다.

         

        <기억 장치>

        <3> 주 기억장치

        정의 CPU가 직접 액세스하는 메모리, 현재 수행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 주기억장치의 각 위치는 주소에 의해서 식별된다.

        • 중앙처리장치에서 연산할 명령과 데이터 및 그 결과를 저장하는 곳이다.

        • 주기억장치에는 쓰지 못하는 읽기 전용 기억장치도 있다.

        - 정원공급 유무에 따른 분류

        • RAM(휘발성) :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를 의미한다. 재충전 여부에 따라 DRAM과 SRAM으로 구분할 수 있다.

        • ROM(비휘발성) : 제조과정에서 필요한 내용을 미리 기억시키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수정할 수 없다.

        * ERROM : 자외선을 이용하여 지우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 EEPROM : 플래시 메모리(MP3나 디카에서 쓰는). 전기적으로 삭제하고 다시 쓸 수 있는 기억장치 -> 사용 편리(BIOS 업데이트용)

         

        <4> 보조 기억장치 (하드디스크)

        정의 : CPU가 아닌 외부에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기억장치

        - 연결 방식에 따른 분류

        • EIDE : 부팅 이전에 주종(Master/Slave)을 물리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 EIDE 방식의 하드디스크 설치 순서 : 주종 점퍼 설정 - 하드디스트와 메인보드 연결 - CMOS 셋업에서 하드디스크 설정

        * 자동 인식 : HDD Auto detect 기능

        • SATA : 빠름, 신뢰성 높음, 데이터 선이 얇아 내부에 통풍이 잘 됨, CMOS에서 자동으로 주종 지정, 핫 플러드인 기능(운용 도중 부착 가능)

        • SCSI : 주변 장치를 7개 이상 연결 가능하다.

        • RAID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 속도/안정성 향상, 데이터 복구의 용이성

         

        접근 시간

        - 정의 : 정보를 기억 또는 읽기 시작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 Seek Time(탐색 시간) : 트랙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

        • Search Time(회전 지연 시간, Latency Time) : 섹터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

        • Transmission Time(전송 시간) : 해당 내용 전송

         

        <5> 캐시 메모리

        - 정의 :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고속의 버퍼 메모리 (속도 차이를 해결)

        • 빠른 처리 속도를 같는 CPU와 상대적으로 느린 주기억장치 사이의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 DRAM보다 접근 속도가 빠른 SRAM 등이 사용되며 주기억장치보다 소용량으로 구성된다. -> 휘발성

        - 적중률 : 효율성은 적중률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적중률이 높을수록 시스템의 전체적인 속도가 향상된다.

        - L1 캐시 / L2 캐시 : CPU가 찾고자 하는 데이터가 L1 캐시에 없을 때 다음으로 L2 캐시에서 찾는다.

        • L1 캐시(1차) : 자주 반복되는 연산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기억장치(CPU 내부) -> 책상 서랍

        • L2 캐시(2차) : CPU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동안 미리 CPU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기억장치 -> 캐비넷

        레지스터 : 가장 빠름. 플립플롭이나 래치를 연결하여 구성.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의 중간 값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

        * 가상 메모리 :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법. 주기억장치 보다 큰 프로그램을 로드하여 실행할 경우 유용하다.

         

        <6> 입력장치/출력장치

        - 모니터

        • 픽셀 : 화면을 이루는 최소의 단위. 그림의 화소라는 뜻을 의미하며 픽셀 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아진다.

        • 해상도 : 멀마나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느냐를 나타내는 단위. 해상도가 높을수록 선명해진다. (색상 수X)

        • 점 간격 : 픽셀들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격이 가까울수록 영상은 선명하다. 

        • 재생률 : 픽셀들이 밝게 빛나는 것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1초당 재충전횟수를 의미한다. (전자총으로 모니터 표면에 빔을 쏘아보내는 횟수)

        - 플로터(Plotter) : 용지 크기에 제한이 없는 그래픽 출력장치. 전송속도 단위는 BPS(Bit/Second)이다. 예) 현수막

        - DMA(Direct Memory Access) : 중앙 처리 장치의 간섭 없이 DMA 장치를 사용하여 주기억장치와 직접 입/출력을 수행한다.

        - 채널 : 입/출력 전용 프로세서(속도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

        • CPU의 명령을 받고 입출력 조작을 개시하면 CPU와는 독립적으로 조작된다.

        • 종류 : 선택채널(고속, 특정한 1개 독점), 다중채널(저속, 동시에 여러개 제어), Block Multiplexer(앞의 두 가지 방식을 결합)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6. 12. 29. 20:05

        2부. 컴퓨터

        4장. 컴퓨터 기초

         

        <1> 자료의 단위

        - 자료의 단위 크기 : 비트 < 바이트 < 워드 < 필드 < 레코드 < 파일 < 데이터베이스

        • bit : 정보의 최소 단위 (bit의 정보 표현 개수는 2ⁿ개)

        • byte : 문자 표현의 최소 단위(bit 8개)

        • word :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의 단위

        • field : 파일 구성의 최소 단위

        • recoed : 하나 이상의 관련된 필드가 모여서 구성

        • file :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단위

        • database : 관련된 파일의 집합

         

        <2> 자료의 표현 - 진법 변환

        - 진법 : 2진수(0과 1로 이루어진 수), 8진수(0~7), 16진수(1~9, A~F), 10진수(0~9)

        - 진법 변환

        • 10진수 -> 2진수 : 10진수를 2로 나누어서 나머지를 거꾸로 처리한다. (예: 15[10] -> 10000[2])

        • 2진수 <-> 8진수 : 3자리씩 묶어서 처리한다. (예: 10000[2] <-> 20[8])

        • 2진수 <-> 16진수 : 4자리씩 묶어서 처리한다. (예: 10000[2] <-> 10[16])

         

        <3> 자료의 표현 - 보수 (Complement)

        정의 : 서로 상반되는 수이다.

        - 보수를 이용하면 덧셈을 이용하여 뺄셈을 할 수 있다. (예: 100-25=75 -> 25에 얼마를 더하면 100이 될까?)

         

        <4> 자료의 표현 - 고정 소수점 표현

        정의 : 정수 데이터의 표현 및 연산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5> 자료의 표현 - 부동 소수점 표현 

        정의 : 실수 데이터의 표현과 연산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 고정 소수점 표현보다 표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아주 큰 수, 아주 작은 수 표현 가능)

        • 정규화(Nomalization) 과정을 통하여 지수부와 가수부로 구성된다.

         

        <6> 자료의 표현 - 문자 표현 코드 

        정의 : 자료를 코드로 표시하여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한다.

        • BCD 코드 : IBM, 6bit(64개 자료 표현), 영소문자 사용 X, 수치 계산용

        • ASCII 코드 : 미국 표준협회, 7bit(128개 자료 표현), 통신 제어용, PC에서 사용

        • EBCDIC 코드 : IBM, BCD 코드 확장, 8bit(256개 자료 표현), 중대형 컴퓨터에서 사용

        • 유니코드 : 국제표준으로 제정된 2바이트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부호 체계

        * 패리티 비트 : 오류 검출을 위한 비트 (문자 표현 코드 X)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6. 12. 28. 15:44

        1부. Windows 7의 기능

        3장. 운영체제 & 부팅

         

        <1> 운영체제 (OS, Operating System)

        - 정의 :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더 편리한 컴퓨터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종류 : MS-DOS, Windows 계열, UNIX, Linux, OS/2

        - 목적

        • 반환 시간 단축 : 시스템에 작업을 의뢰한 시간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

        • 처리 능력 향상 : 일정 시간 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양

        • 신뢰도 향상 : 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정도

        • 사용 가능도 향상 : 시스템이 필요할 때 얼마나 빠른 시간에 사용이 가능한가

        - 기능 : 하드웨어의 효과적인 제어, 사용자의 프로그램 실행 환경 제공, 파일과 디스크 관리기능 제공(데이터베이스 관리 X)

        - 특징

        • 초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운영체제가 없었다.

        • 시스템 소프트웨어(시스템 전체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주된 역할은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통신 장치, 데이터 등과 같은 자원의 관리이다.

        •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주기억장치에 위치한다. (하드디스크 X)

        •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들을 관리하는 주요 프로그램들을 슈퍼바이저(supervisor)라고 부른다.

        • 제어 프로그램(감시, 작업 관리, 데이터 관리 등)과 서비스 프로그램(효율성을 위해 사용빈도가 높음)으로 구성된다.

        • 키보드, 모니터, 디스크 드라이브 등 필수적인 주변장치들을 관리하는 BIOS를 포함한다.

        * 쉘 :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유틸리티 프로그램

        * 윈도우CE : 가전제품, 소형컴퓨터, PDA 등에 사용되는 임베디드(목적을 위한 작은 컴퓨터 시스템. 내장형 시스템) 운영체제

        - 운영방식 : 일괄 처리, 실시간 처리, 분산 처리, 클러스터링(빠른 처리와 장애 해결을 위해 두 대 이상의 컴을 묶어서 처리) 등

         

        <2> 부팅 과정 

        1. 컴퓨터에 전원이 들어오면 롬 바이오스(ROM BIOS)가 실행되어 CMOS에 기록된 내용과 각 하드웨어가 정상인지 점검한다.

        2. 시스템 버스, RTC 시스템 비디오 구성 요소, RAM, 키보드, 드라이브 등을 검사하는 POST를 수행한다.

        3. MBP과 부트 섹터를 검색하고 커널을 포함한 부팅에 필요한 모든 파일들을 주기억장치로 읽어 들인다.

        4. Winlogon.exe를 실행하여 로그온 화면을 표시한다.

        5. Explorer.exe를 실행하여 Windows 7의 바탕 화면을 표시한다.

        BIOS

         - 정의 : 컴퓨터의 기본 입/출력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들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

        • ROM에 저장되어 있어 ROM BIOS라고 함

        • 바이오스는 부팅할 때 PO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한 후에 사용 가능한 장치를 초기화한다.

             * POST(Power On Self Test) : 전원을 켜면 윈도우가 동작하기 전에 컴퓨터의 자가진단과 주변기기 점검 등을 실시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인 펌웨어(ROM에기록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그램의 집합)이다.
        • 최근에는 Flash ROM(재프로그래밍 가능, USB)에 저장되므로 칩을 교환하지 않아도 BIOS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 하드디스크 타입이나 부팅순서와 같이 바이오스에서 사용하는 일부 정보는 CMOS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CMOS

         - 정의 :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웨어 사양을 기록하는 기억장치 (부팅 시 [Delete])

        • 롬 바이오스에 내장된 RAM이지만 PC의 전원이 꺼져도 배터리에 의해 정보를 유지한다.

        • CMOS 셋업 :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웨어 사용을 기록하는 장업

        • CMOS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 : 시스템 날짜/시간, 하드디스크 타입, 부팅 순서, 시스템 양호, 칩셋, 전원 관리, PnP 등

        •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 : 메인 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를 뽑았다가 다시 장착하면 된다.

         

        <3> 레지스트리 (Registry)

        - 정의 : 컴퓨터에 설치된 각종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 대한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는 장소

        - 특징

        • Windows의 자체 구성 정보, 사용자의 프로필과 시스템 하드웨어, 설치된 프로그램 및 속성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계층적인 DB

        • IRQ, I/O주소, DMA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자원과 프로그램 실행 정보와 같은 소프트웨어 자원을 관리한다.

        • 사용자 프로필과 관련된 부분은 ntuser.dat 파일에 저장된다.

        • Windows를 동작시키고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담고 있는 일종의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과 하드웨어나 컴퓨터롸 관련괸 초기화 설정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 레지스트리 변경으로 부팅 문제가 생긴 경우 : 부팅 시 [F8]을 누르고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을 선택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시작 - 검색 상자 - regdit)

        • 레지스트리 내용은 기계어로 되어있어 일반 문서 편집기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수정 시 레지스트리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 시 잘못 변경하면 시스템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를 모두 백업한 후 변경하는 게 좋다.

        • 레지스트리 백업 : [파일] - [내보내기]

        • 레지스트리 복원 : [파일] - [가져오기]

         

        <4> 시스템 구성 편집기 (시작 - 검색 상자 - sysedit)

        - 정의 : 시스템 파일(autoexec.bat / config.sys / win.ini / system.ini)을 편집할 수 있다.

         

        <5> 시스템 환경 설정 (시작 - 검색 상자 - msconfig)

        - 정의 : 시스템 환경 설정을 수정(configuration: 환경 설정, 구성)할 수 있다.

        - 구성 : 일반, 부팅, 서비스, 시작프로그램, 도구

        • 일반 : 시작 모드 선택. 정상(일반적인 윈도우 시작)/진단(기본 서비스 및 드라이버만으로 시작)/선택(선택한 항목으로 시작)

        • 시작프로그램 : 윈도우가 시작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 부팅 : 안전 부팅, GUI 부팅 없음, 부팅 로그, 기본 비디오, OS 부팅 정보

        * 안전 부팅 : 부팅 시 문제가 되는 주변장치 일부를 제외하고, 최소 설정으로 시스템을 시작하도록 하는 것 (부팅 시 [F8]을 누르면 선택 가능)

        * GUI 부팅 없음 : GUI(윈도로고) 없이 부팅

        * 부팅 로그 : 부팅 로그(윈도우가 실행 및 종료될 때 날짜 및 시간을 기록)를 남김

        * 기본 비디오 : 640*480 해상도에 16색 표준 VGA로 부팅

        * OS 부팅 정보 : 장치 드라이버를 로딩하면서 그 목록을 표시(어떤 장치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할 때 필요함)

         

        <6> 인스톨러 (시작 - 검색 상자 - msiexec)

        - 정의 : Windows Installer(설치 지원 프로그램)의 작업을 설치하고 수정한다.

         

        <7> cmd (시작 - 검색 상자 - cmd /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정의 : DOS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띄우는 명령어이다.

        • 텍스트 글꼴/색상 변경 : 제목 표시줄 - 바로가기 메뉴 - [속성] - [글꼴]

        • 텍스트를 다른 문서에 복사 : 우클릭 - 모두 선택 - 제목 표시줄 - 바로가기 메뉴 - [편집] - [복사]

        • 창을 종료하려면 exit 명령어를 입력한다.

         

        <8> 경로 추적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tracert)

        - 정의 : 지정된 호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하는 경로의 정보와 각 경로에서의 지연 시간을 추적하는 명령어이다. 대상 위치의 경로를 확인한다.

         

        <9> IP 구성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ipconfig)

        - 정의 : 현재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정보(IP 주소, 서브넷 마스트, 기본 게이트웨이)를 표시하는 명령어이다.

        - 네트워크 카드의 물리적 주소(MAC Address)도 확인할 수 있다. (ipconfig /all)

         

        <10> 정상 작동 확인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ping)

        - 정의 : 네트워크상에서 원격으로 대상이 되는 장비의 연결 상태 및 작동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11> DNS 정보 확인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nslookup)

        - 정의 : DNS(네트워크에서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12> 활성 TCP 확인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netstat)

        - 정의 : 네트워크(활성 TCP)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stat : 통계량)

         

        <13> 라우팅 테이블 (보조프로그램 - 명령 프롬프트 - route)

        - 정의 : 로컬 IP 라우팅 테이블(네트워크에서 목적지 주소를 네트워크 노선으로 변환)에서 항목을 표시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
        컴활1급 필기노트2016. 12. 26. 00:24

        1부. Windows 7의 기능

        2장. 제어판 사용법

         

        <11>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

        - 정의 :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능

        - 파티션 : 물리적인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용량에 따라 여러 개의 논리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분할하는 것

        • 파티션 설 정 후에 포맷을 해야 사용할 수 있다.

        • 각 파티션 영역마다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다.

        • [컴퓨터 관리]에서 파티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하나의 파티션에는 한 가지의 파일 시스템만을 사용할 수 있다.

         

        - 파일 시스템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는 파일에 대해 수정, 삭제, 추가, 검색 등의 작업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리 시스템

         

        NTFS (Win 7)

        FAT32 (Win 98)

        FAT (Win 98)

         최대 파티션(볼륨) 크기

        256TB

        2TB

        2GB

         최대 파일 크기

        파일 크기는 볼륨 크기에 의해 제한됨

        4GB

        2GB

        • FAT32, FAT에서는 NTFS에 접근하지 못하므로 다중 부팅 및 데이터 호환이 안됨

        • 왼쪽으로 갈수록 보안, 안전성, 압축 기능, 저장 용량, 속도 우

         

        - Windows 작업 관리자 :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제공, 응답하지 않는 프로그램 종료시 사용 [Ctrl+Shift+Esc]

        • 응용 프로그램 :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 확인, 프로그램 종료, 전환(활성화)

        • 프로세스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확인, 프로세스 종료

        • 성능 : CPU와 메모리 사용 현황 확인

        • 사용자 : 시스템 로그오프

         

        <12>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디스크 조각 모음 (접근속도 up, 용량 무관)

        - 정의 : 단편화(분산화)로 인해 여기저기 분산되어 저장된 파일들을 연속된 공간으로 최적화시켜 디스크의 접근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

        • [디스크 조각 모음]의 작업을 수행하려면 컴퓨터 관리자 계정이 필요하다.

        • [디스크 조각 모음]에서 [일정 구성]을 클릭하여 예약을 설정할 수 있다.

        • [디스크 조각 모음]을 실행하기 전에 [디스크 분석]을 클릭하면 조각 모음 필요 여부를 알려준다.

        • [디스크 분석] 결과 디스크의 조각화 비율이 10%를 넘으면 디스크 조각 모음을 수행하는 것이 좋다.

        • CD-ROM 드라이브, 네트워크 드라이브는 수행할 수 없다.

         

        <13>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디스크 정리 (여유 공간 확보)

        - 정의 :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 없는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

        • 디스크 정리 대상 : 임시 인터넷 파일, 오프라인 웹 페이지,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파일, 유지통 파일, 임시 파일 등

        • 드라이브를 압축하여 디스크 공간 절약 가능 : 접근 속도와는 무관

         

        <14> 디스크 검사

        - 정의 : 하드디스크 등 논리적 혹은 물리적으로 손상이 있는지 검사하고, 복구 가능한 에러가 있으면 이를 복구해 주는 기능

        • 네트워크 드라이브, CD-ROM 드라이브는 디스크 검사를 수행할 수 없다.

        •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정기적으로 실행하면 좋다.

        • 불량 섹터 검사 및 복구 시도 : 파일과 폴더의 오류뿐만 아니라 디스크 표면을 검사하여 디스크에 생긴 물리적인 오류도 검사

         

        <15> 제어판 - 폴더 옵션

        - 정의 : 파일이나 폴더의 보기 형식, 검색 방법 등에 대한 설정을 변경한다.

        - 다른 실행 방법 : Windows 탐색기의 도구 모음에서 [구성] - [폴더 및 검색 옵션] 선택

        - 일반 : 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 새창에서 폴더 열기, 한 번 클릭해서 열기, 두 번 클릭해서 열기, 모든 폴더 표시, 자동으로 현재 폴더 확장

        - 보기 - [고급 설정]

        • 메뉴 항상 표시 :

        • 숨김 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 표시

        •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기기(권장)

        •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

        • 폴더 팁에 파일 크기 정보 표시 : 아이콘에 마우스를 올려 놓고 있으면 나오는 항목

        • 확인란을 사용하여 항목 선택 : [Ctrl]이나 [Shift]를 누르지 않고도 여러 개의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16> 제어판 - 관리 센터(보안)

        - 정의 : 사용자의 컴퓨터를 안정하게 보호하기 위해 현재의 보안 및 유지 관리 상태를 확인하고 관련 내용을 설정한다.

        • 알림 영역의 [관리 센터] 아이콘 : 중요한 문제가 있을 경우 X 모양으로 바뀐다.

        • 주의가 필요한 보안 및 유지 관리 설정 메시지 : 빨간색(바로 처리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 노란색(처리를 고려해야 하는 문제)

         

        <17> 제어판 - Windows 방화벽 (침입 차단 시스템)

        - 정의 : 인터넷에서 이 컴퓨터에 액세스하는 것을 제한/차단하여 내 컴퓨터 및 네트워크를 보호한다.

        • Windows 방화벽을 통해 프로그램 또는 기능 허용 : 방화벽을 통해 통신을 허용할 프로그램 및 기능을 설정

        • 알림 설정 변경 : 네트워크 위치에 따른 외부 연결의 차단 여부와 알림을 설정

        * 바이러스 백신은 방화벽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백신을 설치한 경우라도 방화벽은 필요하다.

         

        <18> 제어판 - Windows Defender (새로운 기능)

        - 정의 : 스파이웨어 방지 소프트웨어로, 스파이웨어를 비로가여 원하지 않는 소프트웨어가 컴퓨터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19> 제어판 - Windows Update

        - 정의 : Windows Update 웹 사이트에 정기적으로 접속한 후 업데이트하여 보안 위험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 비디오 카드나 사운드 카드와 같은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관련된 업데이트도 할 수 있다.

        •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를 할 수 없다. (V3, 알약 등 별도로 설치 및 업데이트를 해야함)

        • 설정 변경 : [업데이트 자동 설치] 기능을 이용하여 Windows가 중요한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20> 제어판 - 전원 옵션

        - 정의 : 절전 기능 설정으로 전기 절약, 성능 최대화, 전원과 성능의 균형을 조정한다.

         

        Windows 탐색기 구성요소 - 라이브러리

        - 정의 : 컴퓨터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자료를 한 곳에서 보고 정리할 수 있게 하는 가상의 폴더

        • 실제로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파일이 저장된 폴더를 연결하여 보여준다. (바로가기 아이콘과 비슷)

        • 자주 사용하는 폴더들을 라이브러리에 등록하면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다.

        • 라이브러리 폴더 안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면 원본도 삭제된다.

        •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폴더를 제거해도 원본은 삭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

        - 정의 :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연결한 것

        - 인터넷 : 전 세계 대부분의 통신망들이 서로 연결된 최대의 네트워크

        •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개방형 구조이다.

        • 숫자로 이루어진 IP주소와 문자로 이루어진 도메인 네임을 사용한다.

        도메인 네임 : 문자 형태 주소 ->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 (novelslove.tistory.net )

        IP주소 : 숫자 형태 주소 ->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 (118.219.123.223)

        - 네트워크 위치 선택

        • 한글 Windows 7을 설치할 때 네트워크 위치를 선택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 네트워크 위치로 홈 네트워크를 선택했을 경우 홈 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이 함께 진행된다.

        • 홈 네트워크 : 모든 컴퓨터 사용자와 장치를 신뢰할 경우에 권장한다. (홈 그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공용 네트워크 : 사용자의 컴퓨터를 주변의 다른 컴퓨터에서 볼 수 없다.

         

        <21> 제어판 - 홈 그룹 (네트워크 위치가 '홈 네트워크'로 설정되어야 함)

        - 정의 : 한글 Windows 7이 설치된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파일 및 프린터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

        - 홈 네트워크상에 있는 컴퓨터 중 하나에 홈 그룹을 만들고 나머지 컴퓨터들이 생성된 홈 그룹에 참여하는 형식

        • 한글 Windows 7을 가장 먼저 설치한 컴퓨터에는 설치 과정 중에 홈 그룹 생성 여부를 묻고 이후의 컴퓨터에서는 홈 그룹 참여 여부를 묻는다.

        • 한글 Windows 7 설치 과정 중에 홈 그룹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제어판]-[홈 그룹]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 홈 그룹에 참여하면 Guest 계정을 제외 내 컴퓨터의 모든 사용자 계정이 홈 그룹의 구성원이 된다.

        홈 그룹 만들기

        • [제어판]-[홈 그룹]-홈 그룹 만들기 -> 공유할 항목을 선택 -> 홈 그룹에서 사용할 암호 자동 생성(이후 홈 그룹에 참여하는 컴퓨들에게 필요)

        • 홈 그룹 암호는[홈 그룹 암호 보기 또는 인쇄] 항목을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다.

        * 공유 항목 : 라이브러리(사진, 문서, 음악, 비디오) 및 프린터

        홈 그룹 참여하기 : [제어판]-[홈 그룹]-지금 참여 -> 공유할 항목을 선택 -> 홈 그룹 암호 입력

        홈 그룹에서 나가기 : [제어판]-[홈 그룹]-다른 홈 그룹 작업-홈 그룹에서 나가기 -> '홈 그룹에서 나갑니다' 클릭

         

        <22>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정의 : 현재 설정되어 있는 기본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거나 네트워크 설정 사항을 변경한다.

        1) 맵 : 내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

        2) 활성 네트워크 보기 : 연결된 네트워크 이름, 위치, 액세스 형식, 홈 그룹 참여 여부, 연결 상태(로컬 영역 연결, 무선 네트워크 연결) 등을 표시

        3) 어댑터 설정 변경 : 연결 상태, 사용 여부, 이름 변경 등 네트워크 설정에 대한정보를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 창이 표시

        * 네트워크 어댑터(램 카드)를 설치하면 Windows는 자동으로 '로컬 영역 연결'을 만든다.

        어댑터 설정 변경

        - 네트워크 기능 유형(구성 요소)

        • 클라이언트 : 다른 컴퓨터에서 연결하여 파일/프린터 등의 공유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S/W (정보를 받기 위해)

        • 서비스 : 내 컴퓨터에서 설치된 파일.프린터 등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S/W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 프로토콜 : 사용자의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규약(언어) (통신하기 위한 약속)

        -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 :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구성 요소를 설치/제거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의 속성 값 설정이 가능하다.

        - Internet Protocol Version 4 (TCP/IPv4) 속성

        • TCP/IP :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

        •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 컴퓨터의 유일한 주소. 32비트 주소를 8비트씩 점(.)으로 구분한다.

        •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별하기 위해 IP 수신인에게 허용하는 32비트 주소

        사용자 컴퓨터가 속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한다.

        • 게이트웨이 : 다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출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

        • DSN 서버 주소 :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버가 있는 곳의 IP 주소

        * DNS (Domain Name Service) :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비스

        공유

        - 정의 : 네트워크를 통해서 드라이브, 파일, 폴더, 프린터 등의 컴퓨터 자원을 공유하여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자료에 접근하도록 설정

        • 공유된 폴더는 여러 사란이 사용하므로, 바이러스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 데이터를 공유하려면 공유할 데이터를 공용 폴더(라이브러리에 포함되어 있음)로 이동시키거나 해당 데이터가 있는 폴더를 공유시킨다.

        폴더 공유 설정 : 파일에는 공유를 설정할 수 없다. (폴더를 공유해야 함)

        1) 공유시키려는 폴더를 [선택] - 바로가기 메뉴 [속성] - [공유] - '네트워크 파일 및 폴더 공유 항목'에서 공유 클릭

        공유 이름, 사용자 수, 사용자와 권한 등을 지정할 수 있다. / 드라이브 공유시 '고급 공유'로 공유해야 한다.->[공유]비활성화

        2) 파일 공유 대화상자의 선택란에서 공유 폴더를 사용할 대상을 선택한 후 [추가] 클릭 (대상 : 개별사용자계정, 모든 사용자, 홈 그룹)

        3) 추가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 권한 설정 (읽기, 읽기/쓰기, 제거)

        4) 파일 공유 대화상자에서 '완료', 속성 대화상자에서 '닫기' 클릭

        공유 해제 : 공유를 해제시키려는 폴더/드라이브 선택 - 바로가기 메뉴 [속성] - [공유] - 고급 공유 - '선택한 폴더 공유' 체크 해제

        공유 여부 확인

        1) Windows 탐색기에서 네트워크를 클릭한 다음 공유된 폴더가 있는 컴퓨터를 클릭

        2) Windows 탐색기 하단의 세부정보 창에 공유 여부가 표시됨

         

        <23> 제어판 - 인터넷 옵션 (익스플로러 - 도구 - 인터넷 옵션)

        - 일반 : 홈페이지로 사용할 페이지의 변경, 쿠키 삭제, 열어본 페이지 모록 지우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 쿠키 : 인터넷 사용자에 대한 특정 웹 사이트의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 인터넷 접속 시 자동으로 로그인되게 할 수 있다.

        - 보안 : 보안 설정을 지정할 웹 콘텐츠 영역을 선택하거나 선택된 영역에 적응할 보안 수준을 지정한다.

        - 개인정보 : 예를 들면 인터넷 쇼핑에서 사용되는 개인 정보를 관리한다. (쿠키 관련)

        - 내용 : 곤텐츠 관리자를 지정해서 보안 등급에 따라 접속 가능한 웹 사이트를 제한한다.

        - 연결 : 인터넷 연결 및 인터넷 연결을 위한 LAN 환경프록시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 설정할 수 있다.

        * 프록시 서버 : 인터넷상에서 한 번 요청된 데이터를 대용량 디스크에 저장해두었다가 반복 요청시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서버

        - 프로그램 : HTML 편집기, 전자메일 등 각 인터넷 서비스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지정할 수 있다. (추가 및 제거 X)

         

        * 출처 : 기사퍼스트 권우석쌤 블로그(http://blog.naver.com/iwebmania)

        Posted by 엘세레네